Skip to main content

인문주간

운영 계획

번호 체험명(주제) 담당 일정 장소 인원
1 국제 심포지엄 ‘백인의 식탁’ 사업단 2022. 10. 24.~29. 호남대학교 100명
2 생애사 토크쇼 무형문화연구원 2022. 10. 24.~29.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0명
3 신세타령 토크쇼 무형문화연구원 2023. 10. 23.~28. 월곡동 50명
4 학술행사 사업단 2023. 10. 23.~28. 광산구청 50명
5 글로벌 대학생 토론대회 ‘천인의 놀이터’ 호남대학교 2024. 10. 30. 호남대학교 100명
6 학술행사(인문주간 미해당) 사업단 2024. 10. 10.~11. 광산구청 50명
7 골목 투어 퍼포먼스(유라시아 골목축제) 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8 유라시아 얼굴전 ‘千人-天人展’(유라시아 골목축제) 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9 아시아문화마을 체험(이야기 꽃피는 마을) 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10 유라시아 이야기 그림책(이야기 꽃피는 마을) 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
운영 계획

체험명(주제)
국제 심포지엄 ‘백인의 식탁’
사업단 2022. 10. 24.~29. 호남대학교 100명
생애사 토크쇼
무형문화연구원 2022. 10. 24.~29.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0명
신세타령 토크쇼
무형문화연구원 2023. 10. 23.~28. 월곡동 50명
학술행사
사업단 2023. 10. 23.~28. 광산구청 50명
글로벌 대학생 토론대회 ‘천인의 놀이터’
호남대학교 2024. 10. 30. 호남대학교 100명
학술행사(인문주간 미해당)
사업단 2024. 10. 10.~11. 광산구청 50명
골목 투어 퍼포먼스(유라시아 골목축제)
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유라시아 얼굴전 ‘千人-天人展’(유라시아 골목축제)
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아시아문화마을 체험(이야기 꽃피는 마을)
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유라시아 이야기 그림책(이야기 꽃피는 마을)
최영화 2024. 10. 28.~31. 월곡동일원 100명

생애사 토크쇼

- 고려인 할머니가 들려주는 그들의 흔적, 기억과 구술
- 구술, 사진, 물증 등을 통한 자료 수집 및 이야기를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정리 기획
- 월곡동은 고려인 3세에서부터 7세까지 거주하는 지역이며, 고려인 할머니들에게 구전되어오고 있는 고려인의 역사, 생애사를 기록하고자 함
- 더 나아가 이주민 및 선주민을 대상으로, 본인의 생애를 이야기하는 방식이며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 콘테스트 형식으로 진행
- 단순한 토크쇼가 아닌 개인의 생애사를 지역사와 아시아사 속에서 자리매김해 줄 수 있음
프로그램 내용
– 장소 :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파크
– 형식 : 구술 발표

학술행사(콜로키엄 혹은 워크숍)

- 사회적 약자는‘자신만의 장소를 가지지 못한 자’라고 표현 가능함. 이런 점에서 민주주의의 역사 또한‘장소 없는/없던 자’들이 자신의 장소와 권리를 획득해온 역사로 규정할 수 있음.
- 광주의 지역성 혹은 장소성은 무엇일까? 광주는 이주민과 같은 취약한 이들을 환대하는 도시인가?
프로그램 내용
– 장소: 광산구청 대강당
– 일시: 2023년 10월 말
행사제목:“광주는 취약한 자들을 환대하는 도시인가?”
논의주제: 광주 외국인 주민의 사회경제적 현황과 과제, 광주의 장소성과 민주주의
진행방식: 발제, 지정토론, 자유질의, 자유토론
참가대상: 광주 지역 연구자, 활동가, 공직자, 대학생, 일반시민

글로벌 대학생 토론대회 ‘천인의 놀이터’

- 국내 및 광주지역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회를 향한 다양한 생각들과 비전을 공유하는 기회 제공
- 다양한 민족, 문화와의 어울림, 공동체 가능성의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형성하고자 함
프로그램 내용
– 장소 : 호남대학교 국제회의실
– 참가대상 : 전국 대학교 재학생 또는 휴학생
(혼성 3인 1팀, 단 여대일경우만 여성단일팀 가능)
– 참가주제 :‘지구인으로 숨 쉴 권리’
– 시상: 총 6개팀 (최우수상 1개팀, 우수상 2개팀, 장려상 3개팀)
– 참가접수 : 2024. 8. 1. ~ 9. 20.
– 예선 : 2024. 10. 25. ~ 27. / 본선 : 2024. 10. 30.

유라시아 골목축제 – 인문에서 나오는, 인문을 향하는 인문의 장

골목 안에는 사는 집이 있고, 사는 집은 담장이 있다. 그래서 만들어진 골목. 골목을 지나다 보면 담장으로 웃고 떠들고 싸우고 사랑, 근심하는 소리가 넘어오고 된장국 밥 짓는 냄새가 또 그렇다. 그래서 골목은 담장으로 막아선 영역의 표시지만 넘어오는 사람사는 이야기가 있다. 이를 꺼내어 보는 장이 골목축제
프로그래명 내용
골목 투어 퍼포먼스 – 골목을 지나가다 보면 들려오는 안방, 거실, 마당의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사람 사는 이야기,
골목 담장에 써내려 간 낙서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을까? 골목에 나와 있는 하모니카 부는 아저씨,
아코디언 켜는 할아범은 누구를 노래하고 있을까?
– 마을 탐방객을 대상으로 삼삼오오 짝을 지어 골목을 투어하고 마지막에 소감을 말하면 기록이 되는 퍼포먼스
유라시아 얼굴전 ‘千人-天人展’ – 얼굴은 삶의 표현이자 다문화성을 보여준다. <얼굴전>을 통해 호기심이 충만하면서도 학술적으로도 의미있는
전시를 구성하고자 함
– 우리 동네 천인의 얼굴 그리기 : 엄마 얼굴, 아빠 얼굴, 아이 얼굴, 친구 얼굴. 동그라미 안에 그들의 삶이 완전하게
녹아 있다. 그 얼굴이 이야기하는 삶을 담아내고 하나하나의 얼굴이 의미가 되고, 꽃이 되어 사람이 꽃이 피는
월곡동 만들기
프로그래명

골목 투어 퍼포먼스

– 골목을 지나가다 보면 들려오는 안방, 거실, 마당의 소리를 듣고 상상되는 사람 사는 이야기,
골목 담장에 써내려 간 낙서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을까? 골목에 나와 있는 하모니카 부는 아저씨,
아코디언 켜는 할아범은 누구를 노래하고 있을까?
– 마을 탐방객을 대상으로 삼삼오오 짝을 지어 골목을 투어하고 마지막에 소감을 말하면 기록이 되는 퍼포먼스

유라시아 얼굴전 ‘千人-天人展’

– 얼굴은 삶의 표현이자 다문화성을 보여준다. <얼굴전>을 통해 호기심이 충만하면서도 학술적으로도 의미있는
전시를 구성하고자 함
– 우리 동네 천인의 얼굴 그리기 : 엄마 얼굴, 아빠 얼굴, 아이 얼굴, 친구 얼굴. 동그라미 안에 그들의 삶이 완전하게
녹아 있다. 그 얼굴이 이야기하는 삶을 담아내고 하나하나의 얼굴이 의미가 되고, 꽃이 되어 사람이 꽃이 피는
월곡동 만들기

이야기꽃 피는 마을

- 광산구 ‘월곡고려인문화관 결’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테마관광지구로 조성되어지고 있는 마을투어 프로그램을 개최하여, 인문축제 기간과 연계하는 투어프로그램 발굴 필요
-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발굴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야기는 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알아갈 수 있는 인문학적 자원으로 이를 인문축제 기간과 연계하여 시민들이 아시아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
프로그래명 내용
아시아문화마을 투어, 시민 체험 프로그램 – 고려인역사유물전시관 관람
– 고려인마을 및 글로벌테마거리 투어
– 고려인문화 체험 : 고려인 모국어신문 인쇄, 고려인전통음료 감주 만들기
– 공예체험 : 공예로 하나되는 사람과 문화 그리고 예술
유라시아 이야기그림책 – 월곡의 골목으로 들어온 아시아 스토리텔링
– 중앙아시아의 자연, 역사, 문화를 다채롭고 개성 있는 그림과 결합하여 구성
프로그래명

아시아문화마을 투어, 시민 체험 프로그램

– 고려인역사유물전시관 관람
– 고려인마을 및 글로벌테마거리 투어
– 고려인문화 체험 : 고려인 모국어신문 인쇄, 고려인전통음료 감주 만들기
– 공예체험 : 공예로 하나되는 사람과 문화 그리고 예술

유라시아 이야기그림책

– 월곡의 골목으로 들어온 아시아 스토리텔링
– 중앙아시아의 자연, 역사, 문화를 다채롭고 개성 있는 그림과 결합하여 구성